오전장★테마동향 강세 테마 : 리튬, 캐릭터상품, 폐배터리, 2차전지, 터치패널(스마트폰/태블릿PC 등), 코로나19(화이자), 화학섬유, 자전거, 석유화학, MLCC(적층세라믹콘덴서), 카지노, 제습기, 온실가스(탄소배출권), AI 챗봇(챗GPT 등), 日 수출 규제(국산화 등), 전자파, 비철금속,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항공/저가 항공사(LCC) 등...약세 테마 : 제대혈, 코로나19(치료제/백신 개발 등), 보톡스(보툴리눔톡신), 줄기세포, 면역항암제, 폐기물처리, 농업, 웹툰, 미용기기,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NFT(대체불가토큰), 키오스크(KIOSK), 인터넷 대표주, 양자암호, 모바일게임(스마트폰), 비료, 건설 대표주, 마이크로바이옴, 수자원(양적/질적 개선), 테마파크, 사물인터넷, 게임 등... -특징테마 이슈요약- ▶카지노/ 항공/저가 항공사(LCC) : 항공·카지노주 1분기 실적 호조 전망 등에 상승▷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기관 3곳 이상에서 실적 추정치를 제시한 유가증권 및 코스닥 상장사 199개 중 1분기 영업이익 추정치가 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한 기업은 8개사로 나타난 것으로 알려짐. 이들 업종은 조선, 항공, 카지노로 올해 1분기에 개선된 모습을 보일 것으로 전해짐.▷이와 관련, 카지노섹터 중 파라다이스와 GKL이 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지난해 1분기 흑자를 기록한 강원랜드는 실적이 큰 폭으로 증가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음. 아울러 항공섹터 중 제주항공과 티웨이항공 등도 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이 같은 소식에 롯데관광개발, 파라다이스, GKL, 제주항공, 티웨이항공 등 카지노/항공/저가 항공사(LCC) 테마가 상승. ▶2차전지 등 : 尹 대통령 美 국빈방문 기대감 및 스텔란티스-삼성SDI 美 코코모시 배터리공장 건설 착수 소식 등에 상승▷전일 일부 언론에 따르면, 정부가 윤석열 대통령이 4월 미국을 국빈방문 하기 전에 테슬라의 기가팩토리 유치 협상 성과를 낸다는 목표를 세운 것으로 전해짐. 대통령실 핵심관계자는 “윤 대통령 美 국빈방문에 기가팩토리 관련 일정이 포함될 수 있다”며 “때문에 그때까지 성과를 내려고 한다"고 밝힘 것으로 전해짐. 정부는 국빈방문 전에 협의에 진전을 이뤄 尹 대통령이 머스크와 직접 면담하는 그림을 그리겠다는 목표를 세운 것으로 보인다고 알려지고 있음.▷일부 언론에 따르면, 유럽의 완성차 제조업체 스텔란티스(Stellantis)와 삼성SDI가 미국 인디애나주 코코모시에 건설할 전기차용 배터리 제조시설의 건설이 시작됐다고 전해짐. 테일러무어(Tyler Moore) 코코모시 시장과 인디애나주 경제 개발 공사(Indiana Economic Development Corp.) 공무원, 브록 허(Brock Herr)사업 개발 수석 부사장 등은 22일(현지시간) 기념식을 열고 강철빔에 서명하며 본격적인 공사의 시작을 알린 것으로 전해지고 있음. 축구장 면적 32개에 해당하는 250만평방피트(약 23만2,257㎡)의 부지에 건설되는 스텔란티스와 삼성SDI의 배터리 공장은 2025년 1분기 개장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스텔란티스와 삼성SDI는 최대 31억 달러(약 4조500억원)를 투자할 방침임.▷아울러 지난 16일(현지시간) 유럽 집행위원회가 발표한 유럽판 인플레이션 감축법이라고 불리는 핵심원자재법(CRMA) 초안에 대한 기대감도 지속되는 가운데, 지난 21일(현지시간) 외신에 따르면, 전기차의 경쟁력이 커지면서 완성차, 배터리 제조업체에 대한 투자를 고려해봐야 한다며, 니켈과 리튬도 배터리 제작에 필수로 쓰이면서 관련 업체도 긍정적이라고 진단했음.▷이 같은 소식 속 에코프로, 레몬, 미코, HB테크놀러지, 상신이디피, 씨아이에스 등 2차전지 테마가 상승. 또한, 2차전지 시장 성장 수혜주로 꼽히는 영화테크, 웰크론한텍, 하나기술, 어반리튬, 하이드로리튬, 금양, 미래나노텍 등 폐배터리/리튬 테마가 상승. ▶자율주행차 : 정부, 2025년까지 자율차 국가표준 25건 제정 추진 소식 등에 일부 관련주 상승▷전일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국표원)은 자율주행차 표준화 추진전략 간담회를 열고 자율차 표준화 추진전략 초안을 공개했음. 국표원은 이번에 공개한 추진 전략 초안을 통해 3대 전략 8대 과제를 정하고 2025년까지 국가표준 25건 제정과 국제표준 30건 제안을 목표로 이를 추진키로 했으며, 특히 V2X(Vehicle to everything) 데이터 표준화를 중점 추진해 자율주행 상용화를 위한 차 대 차, 차 대 도로 인프라의 데이터 교환을 원활히 하기로 했음.▷한편, 간담회에는 현대모비스와 LG전자, LG이노텍, KT, 삼성전자, 토르드라이브, 자스텍엠, 오토노머스에이투지 등 자율차 관련 기업과 대학·연구기관·협회 관계자가 참여해 초안에 대한 의견을 교환한 것으로 전해짐.▷이에 금일 에이테크솔루션, 모바일어플라이언스, 디에이테크놀로지, 켐트로닉스 등 일부 자율주행차 테마가 상승. ▶황사/미세먼지/ 공기청정기 : 中 최악 황사, 금일 국내 영향 예보 등에 상승▷기상청에 따르면, 전일 중국 베이징의 하늘을 뒤덮은 올해 최악의 황사가 금일 오후에 서해안에 상륙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이에 따라, 수도권의 미세먼지 농도가 ‘매우나쁨’ 수준까지 치솟고, 일부 지역에서는 황사비가 내릴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경기와 인천 지역에는 어제 오후 5시를 기준으로 황사위기경보 '관심' 단계가 발령됐음.▷이 같은 소식 속 위니아, 위닉스, 나노, 에스피지 등 일부 황사/미세먼지, 공기청정기 테마가 상승. ▶보톡스(보툴리눔톡신) : 국회, 보툴리눔 톡신 균주 공개 관련 개정안 상정 지연 속 불확실성 리스크 지속 등에 하락▷언론에 따르면, 국회 보건복지위원회가 전일 제2법안심사소위원회(법안소위)를 열고 최종윤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대표발의한 '감염병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일부 개정안'(감염병예방법 개정안)을 심의했으며, 심의 결과 '계속 심사'를 진행하기로 해 보건복지위원회 전체회의 상정은 잠시 지연된 것으로 전해짐.▷해당 법안의 국회 상정이 연기됐으나, 국회에서 추후 심사를 계속한다고 예고한 만큼 우려가 지속되는 모습. 이번 법안은 보툴리눔 톡신 병원체(균주)를 규제기관에 제출하도록 하는 법안으로, 불법적으로 균주를 획득했음이 밝혀진 업체에 대해 질병청이 허가 취소를 내린다는 내용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짐.▷이 같은 소식에 메디톡스, 제테마, 한국비엔씨, 유바이오로직스 등 보톡스(보툴리눔톡신) 테마가 하락. ▶반도체/인터넷/IT 대표주 등 : 美 연준 베이비스텝 단행 속 美 주요 기술주 하락 등에 하락▷Fed가 시장 예상대로 0.25%p 금리를 인상한 가운데, 제롬 파월 Fed 의장이 연내 금리인하 기대에 선을 그으면서 피봇 기대감이 사라졌음. 아울러, 옐런 美 재무장관이 모든 예금을 보장하는 ‘포괄 보험’(blanket insurance)을 고려하지 않는다고 밝히면서 지난밤 뉴욕증시는 3대 지수 모두 큰 폭의 하락세를 기록했음. 애플(-0.91%), 마이크로소프트(-0.54%), 아마존(-1.90%), 알파벳A(-1.48%) 등 美 주요 기술주는 동반 하락.▷ Fed는 전일(현지시간) FOMC 회의를 마치고 통화정책 성명에서 기준금리를 4.75%~5.00%로 25bp 인상했으며, 성명서에서 ‘지속적인 금리 인상’(ongoing increases) 문구를 삭제했음. FOMC 위원 18명 중 과반 이상인 10명이 올해 최종금리 수준을 5.00~5.25%로 예상한 것으로 알려짐. 한편, 파월 Fed 의장은 기자회견에서 "FOMC 회의 참석자들이 올해 중 금리인하를 전망하지 않는다는 것이 가장 유력한 시나리오"라면서 현재 연준은 연내 인하를 고려하지 않는다"고 밝힘.▷이 같은 소식 속 DB하이텍, 에이디칩스, 알파홀딩스, 두산테스나, SFA반도체, 피에스엠씨 등 일부 반도체 관련주 및 카카오, NAVER 등 인터넷 대표주가 하락. 또한, 대표적인 성장주로 꼽히는 룽투코리아, 펄어비스, 위메이드, 밸로프, 네오리진 등 게임/모바일게임(스마트폰) 테마도 하락.▶가상화폐(비트코인 등) : 파월 Fed 의장 '연내 금리인하 없다' 발언 속 비트코인 가격 약세 등에 하락▷전일(현지시간) 연방준비제도(Fed)가 이틀간의 FOMC 회의를 마치고 시장의 예상대로 기준금리를 0.25%p 인상한 가운데, 제롬 파월 Fed 의장이 회의 직후 가진 기자회견에서 연내 금리인하 기대에 선을 그으면서 위험자산 선호 심리가 후퇴하는 모습.▷파월 의장은 "참석자들이 올해 중 금리 인하를 전망하지 않는다는 것이 가장 유력한 시나리오"라며, 현재 연준은 연내 금리 인하를 고려하지 않는다고 못 박았음. 이어 "우리가 금리를 더 올릴 필요가 있다면 그렇게 할 것"이라며 추가 인상 여지도 열어놨음.▷이날 오전 10시 기준 코인마켓캡에서 비트코인 가격은 전일대비 3% 가까이 하락한 27,290달러 부근에서 거래됐으며, 국내 가상화폐 거래소인 빗썸에서는 전일대비 4% 가량 하락한 3,628만원 부근에서 거래되고 있음.▷이에 금일 비덴트, 인바이오젠, 우리기술투자, 갤럭시아머니트리 등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테마가 하락. 오전장 특징주★(코스피) <특징종목 이슈요약> 이수화학(005950) : 에코프로비엠에 황화리튬 시제품 공급 소식 등에 급등▷동사는 전일 언론을 통해 테스트 과정에서 만들어진 황화리튬 시제품을 국내 주요 고체 전해질 생산업체인 에코프로비엠에 공급했다고 밝힘. 이번에 공급한 물량은 전량 에코프로비엠의 파일럿(시험생산) 라인에 투입해 테스트 과정을 거칠 예정이며, 테스트 과정 이후 본격적인 공급으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이번 시제품 공급은 실험실 테스트 규모를 넘어 파일럿 테스트 가능 수준으로 공급했다는 점에서 황화리튬 양산 가능성을 재확인한 것이라고 밝힘.▷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이달부터 솔리드파워 등 해외 고객사를 대상으로 시제품을 제공할 계획"이라며, "고객사 테스트가 완료될 시 본격적인 수출 계약도 성사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힘. 효성티앤씨(298020) : 1분기 영업이익 시장 기대치 상회 전망 등에 상승▷IBK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은 501억원으로 전 분기 대비 흑자전환하며, 시장 기대치(147억원)를 크게 상회할 것으로 전망. 특히, 주력 제품인 스판덱스는 전 분기에 이어 완연한 실적 개선이 예상된다고 밝힘. 아울러 터키/브라질/인도/베트남 등 해외 법인들의 가동률 개선 효과도 실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전망. 또한, 무역 및 기타부문 영업이익은 205억원을 기록하며, 전 분기 대비 25.9% 증가할 전망.▷올해 2분기 실적 또한 글로벌 패션업체들의 성수기를 대비한 스판덱스 재고 축적 확대, 중국 Ningxia 스판덱스 플랜트의 온기 가동/인도 법인의 증설분 본격 상업화로 인한 물량 측면의 증가 및 PTMEG 스프레드 개선으로 3분기 연속으로 증익 추세가 이어질 전망.▷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600,000원[유지] 풍산(103140) : 1분기 실적 컨센서스 상회 전망 및 방산 수출 기대감 등에 소폭 상승▷이베스트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1Q23년 실적은 연결기준 매출액 1조290억원(-2.1%YoY, -9.2%QoQ), 영업이익 640억원(-7.7%YoY, +49.3%QoQ)으로 컨센서스(532억원)를 20% 상회할 것으로 전망.▷아울러 2023년은 방산 수출이 이익 성장을 이끄는 한 해가 될 것으로 분석. 이는 방산부문의 매출 비중은 30% 내외이지만, 영업이익률은 10% 중반대로 신동부문에 비해 훨씬 높기 때문이라고 설명. 특히, 러-우 전쟁 장기화로 글로벌 탄약 쇼티지가 지속되고 있으며, 우크라이나 지원을 위한 미국과 EU의 탄약 수입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고 밝힘.▷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43,000원 -> 50,000원[상향] CJ(001040) : 자회사 올리브영, 높은 성장세 지속 속 IPO 재추진 기대감 등에 소폭 상승▷흥국증권은 동사에 대해 비상장 자회사 중 올리브영의 높은 성장세가 지속되면서 연기헸던 IPO의 재추진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고 밝힘. 올리브영은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공격적인 동시 확장 전략이 성공적으로 수행되면서, 포스트 코로나19 시대의 새로운 소비 트렌드를 견인하고 있다며, 올리브영의 지난해 4분기 매출액은 7,710억원(+30.4% YoY), 순이익은 555억원(+111.8% YoY)을 기록하는 폭발적인 성장세를 시현중이라고 언급.▷아울러 그룹의 전반적인 성장 흐름이 지속되는 가운데, 상장/비상장 자회사들의 배당 여력 증가 기조를 감안하면, 성장과 연동되는 DPS의 점진적인 증가세가 기대된다고 언급.▷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120,000원[유지] IHQ/인바이오젠 : 감사보고서 제출 지연 속 약세▷IHQ, 인바이오젠은 전일 장 마감 후 감사보고서 제출 지연 공시.[종목]: IHQ, 인바이오젠 카프로(006380) : 감사의견 한정 및 최대주주 장내매도 등에 하한가▷전일 장 마감 후 임원ㆍ주요주주특정증권등소유상황보고서 공시. 최대주주 효성티앤씨는 동사 주식 541,445주(1.36%)를 장내매도했다고 밝힘. 이에 따라 보유지분율은 12.04%에서 10.68%로 감소했음.▷지난 21일 장 마감 후 감사범위제한으로 인한 감사의견한정으로 관리종목 지정 공시. 한편, 범위제한에 따른 감사의견 한정으로 전일 동사의 주권 거래가 정지된 바 있음. 오전장 특징주★(코스닥) <특징종목 이슈요약> 클리노믹스(352770) : 자회사 제로믹스, 맞춤형 암백신 시스템 기술 개발 성공 소식에 급등▷동사는 언론을 통해 자회사 제로믹스가 ‘맞춤형 암백신 시스템’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힘. 총 7개의 특허로 이루어진 이 기술은 기존 기술대비 약 30% 이상 높은 면역반응 정확도를 가졌으며, 흑색종, 폐암, 대장암, 위암, 췌장암 등으로 이뤄진 평가 데이터를 비교 분석한 결과, 현존 기술 중 가장 높은 정확도를 확보한 것으로 전해짐.▷이와 관련 동사 박종화 대표이사는 “환자 특이적으로 맞춤형 신생항원을 통해 암을 제거하는 기술이 미래”라며, “우리 회사의 암 분석용 액체생검(Liquid biopsy) 기술과 자회사의 암백신개발 기술을 연결해 건강할 때부터 피만 뽑아도 암을 미리 예측·진단하고, 암에 걸리면 맞춤형 암백신을 제공하는 암진단과 치료 상품개발이 사업전략”이라고 설명. 뉴로메카(348340) : 국내 최초 협동로봇 신개념 용접 솔루션 개발 소식 등에 급등▷동사는 언론을 통해 협동로봇을 적용한 신개념 용접 솔루션을 개발했다고 밝힘. 국내 최초로 개발된 이번 용접 솔루션은 아크 센서를 이용한 용접선 추종과 3차원 카메라를 이용한 용접 특이점 자동 추출 기능을 특징으로 하고 있음.▷아울러 협동로봇 기반 솔루션으로 용접선으로부터 용접봉까지의 좌우 오프셋과 거리를 동시에 보정하는 기능은 국내에서 유일하며, 여기에 3차원 카메라를 통해 용접 특이점 자동 추출이 가능해졌기 때문에 CAD 데이터로부터 로봇의 경로를 생성하는 과정을 생략, 생산성을 향상시켰다고 설명.▷동사 관계자는 "이번 솔루션에 적용된 협동로봇은 사람 또는 주변과 충돌 시 자동으로 정지하도록 설계돼 있어 사람과 같은 공간에서 작업이 가능하다"며, "직관적인 인터페이스와 쉬운 프로그래밍으로 비전문가도 쉽게 로봇을 조작할 수 있다"고 밝힘. 이어 "해당 솔루션이 중대재해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고 인력난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뿌리산업, 중소기업, 조선업 등에 많은 도움이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언급했음. 디에이테크놀로지(196490) : 투자주의 환기종목 지정 사유 해소 및 올해 실적 턴어라운드 전망 등에 급등▷전일 장 마감 후 감사보고서를 통해 내부회계관리제도 검토의견 비적정 등 여부가 직전사업연도 해당 의견에서 당해사업연도 미해당으로 의견을 받아 투자주의 환기종목 지정 사유가 해소됐다고 밝힘.▷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지난해 환기종목 지정 이후 즉각적으로 내부 회계 관리팀을 신설해 회계 관리 전문성과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노력을 지속한 결과, 1년 만에 환기종목 탈피에 성공했다"며 "경영 건전성 제고와 동시에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유럽 핵심원자재법(CRMA) 발효 등 올해는 전방산업인 2차전지 분야 성장세가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동사의 성장 모멘텀이 한층 강화되는 원년이 될 것"이라고 밝힘.▷아울러 동사는 올해 실적 턴어라운드를 기대하고 있으며, 올해 1분기 매출액이 전년동기대비(97억원) 3~4배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음. 제이앤티씨(204270) : 올해 1분기 실적 호조 기대감 등에 급등▷유진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올해 1분기 매출액은 613억원, 영업이익은 16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매출액은 30.7% 증가하고, 영업이익은 흑자전환하면서 실적 성장을 전망. 이는 글로벌 스마트폰 제조업체의 공급 확대 및 재개와 차량용 강화유리 시장의 본격적인 진입 성공 등 때문으로 분석.▷아울러 현재 주가는 당사 추정 2023년 예상 실적 기준으로 PER 8.8배로 국내 동종업체(와이솔, 비에이치, 엠씨넥스, 자화전자, 코리아써키트)의 평균 PER 23.9배 대비 크게 할인되어 거래중이라고 언급. 주가는 지난 2년간의 부진한 실적이 이미 반영되어 하락세를 지속하였으나, 고객 다변화 및 제품 다각화로 인한 실적 재성장세 기대감 등으로 상승세 지속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 한글과컴퓨터(030520) : 챗GPT 적용 '한컴독스 AI' 연내 출시 예정 소식에 강세▷동사는 언론을 통해 클라우드 기반 구독형 서비스 '한컴독스'에 세계 최대 인공지능(AI) 연구소 오픈AI의 '챗GPT'를 장착한 '한컴독스 AI'를 올해 안에 출시하겠다고 밝힘. 동사는 ‘한컴독스 AI’를 통해 문서 작성에 필요한 주요 편의 기능,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제공해 사용자의 업무 환경에 적합한 워크플로를 제안할 방침이며, 이를 위해 워드프로세서인 한글에 챗GPT를 우선 적용하고 문서 작성, 요약, 편집, 번역, 시각화 등 다양한 AI 기능을 제공할 예정으로 전해짐.▷이와 관련, 동사 김병기 전략기획본부장은 "동사가 보유한 문서 요소기술과 데이터를 챗GPT와 연계해 누구나 손쉽게 업무에서 AI를 활용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한컴독스 AI의 목표"라고 밝힘. 글로벌텍스프리(204620) : 국내 유입 해외 관광객 급증에 따른 실적 개선 기대감 등에 강세▷언론에 따르면, FS리서치는 동사에 대해 국내 유입 해외 관광객 급증에 따라 실적에 긍정적인 영향이 기대된다고 분석한 것으로 전해짐. 2016년부터 2019년까지 중국인 입국자 1명당 동시에 발생하는 매출액은 3,300~3,900원대였으나, 지난해 12월에는 1만2,234원을 기록하며 코로나 이전 대비 3~4배 증가했다며, 과거 대비 1인당 매출액이 상승하면서 중국인 입국자수가 2019년 수준만 회복해도 중국인 관련 매출액이 349억원 발생할 것으로 전망.▷또한, 중국인 입국자수는 올해 2019년 대비 30% 수준 회복할 것으로 기대했는데, 내년에는 100% 회복할 것으로 전망. 이어 중국외 외국인 입국자 역시 100% 회복하면서 316억원의 매출이 예상된다며, 본사는 665억원의 매출액, 영업이익은 178억원, 해외법인은 영업이익 88억원으로 보면 연결 기준으로 내년 영업이익은 270억원으로 전망된다고 전해짐. 나노씨엠에스(247660) : UAE 소재 병원과 바이러스 사멸 램프 공급 협약 체결 소식에 상승▷동사는 언론을 통해 원자외선(Far-UVC) 222nm를 이용한 바이러스 사멸 램프인 ‘Plasma Guard 222’를 아랍에미리트 두바이의 ‘HMS MIRDIF HOSPITAL’에 공급한다고 밝힘. 이번 공급 협약은 ER 환자대기실과 소아과대기실 두 곳에 시범설치 후 실증테스트를 통해 약 4~5개월 후 본 설치를 하는 것으로, Air Sampler(부유균 측정장비)를 설치하여 부유균들에 대하여 살균램프(Plasma Guard 222) 설치 전·후를 비교하여 확인하게 된다고 설명.▷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최초로 대규모 복합 전문 병원에서 실증테스트를 진행하는 것으로 공간살균제품의 중동지역에 대한 영업의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면서, "이미 성과를 보이고 있는 미국과 함께 중동지역의 영업 확장에 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밝힘. 피씨엘(241820) : 투자주의 환기종목 해제에 상승▷전일 장 마감 후 내부회계관리제도 비적정 사유 해소 등으로 투자주의 환기종목 해제 공시. 감사보고서 제출 공시. 엘컴텍(037950) : 최근 금 가격 상승에 따른 관련주로 부각되며 상승▷지난밤 뉴욕상품거래소에서 4월물 금 선물 가격은 연준 베이비스텝 속 전거래일 대비 8.50달러(+0.44%) 상승한 온스당 1,949.60달러에 거래를 마감했음.▷한편, 국제 금 선물 가격은 지난 20일 지난해 3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처음으로 온스당 2,000달러(약 260만원)를 돌파하기도 했음.▷이 같은 소식 속 몽골 자회사 AGM MINING CO.,LTD가 몽골 현지 3개 광구(Toromkhon(금/구리 Project), Alag Shand(금 Project), Tamgat(구리/아연 Project))에서 탐사권을 보유하고 있는 점이 시장에서 부각. 디와이디/초록뱀이앤엠 : 관리종목 해제에 상승▷전일 장 마감 후 최근 3사업연도중 2사업연도 자기자본 50% 초과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 발생 사유 해소로 관리종목 해제 공시. 감사보고서 제출 공시.▷한편, 디와이디는 내부회계관리제도 비적정 사유 해소 등으로 투자주의환기종목 지정사유도 일부 해제됐다고 공시.[종목]: 디와이디, 초록뱀이앤엠 \에스엠(041510) : 공개매수 참여 시한 경과 속 하락▷카카오의 동사 주식 공개매수 마감일이 오는 26일로 예정된 가운데, 공개매수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전일(22일)까지 주식을 매수해야했음. 주식 거래일로부터 2영업일이 지난 후에야 주식이 실제로 계좌에 입고되는 것을 고려할 때 금일부터는(23일~24일) 동사 주식을 매수해도 공개매수 신청이 불가능함.▷한편, 지난 7일 카카오는 전자공시를 통해 동사 주식 8,333,641주(발행주식총수의 약 35.0%)를 150,000원에 매수한다고 밝힌 바 있음. 공개매수기간은 2023년3월7일부터 2023년3월26일임. 제넨바이오(072520) : 49.99억원 규모 유상증자 결정 속 약세▷운영자금 확보 목적으로 주식회사 제이와이씨(JYC Inc.) 등 대상 3,723,008주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 공시. CSA 코스믹(083660) : 관리종목 지정에 급락▷전일 장 마감 후 자본잠식률 50% 이상, 최근 3사업연도중 2사업연도 자기자본 50% 초과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 발생 등으로 관리종목 지정 공시. 감사보고서 제출 공시. 출처 @ 인포스탁
톡스타톡속보2023-03-23 11:35:08조회수: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