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후장★테마동향 <테마동향> 강세 테마: 딥페이크(deepfake), 양자암호/양자컴퓨팅, 의료AI, 보안주(정보), 제대혈, 해저터널(지하화/지하도로 등), 마이코플라스마 폐렴, 비만치료제,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4대강 복원, 2차전지(전고체), AI 챗봇(챗GPT 등), 블록체인, 바이오시밀러(복제 바이오의약품), CXL(컴퓨트익스프레스링크), 유전자 치료제/분석, 우크라이나 재건, 미용기기, 마이크로 LED, 반도체 대표주(생산), HBM(고대역폭메모리),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등...약세 테마: CCTV&DVR, 렌터카, 조선기자재, 선박평형수 처리장치, 조선, 자전거, 미디어(방송/신문), 비료, 보안주(물리), 해운, 자동차 대표주, 카지노, 인터넷 대표주, 수산, 조림사업, 그래핀, 폐기물처리, UAM(도심항공모빌리티), 밥솥, 기업인수목적회사(SPAC), 여행, 타이어, 캐릭터상품, LNG(액화천연가스), 광고, 리츠(REITs), 소매유통 등... <특징 테마> 보안주(정보): 마이크로소프트, 트럼프·머스크와 사이버 보안 논의 소식 등에 상승▷외신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15일(현지시간)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와 사티아 나델라 마이크로소프트 CEO 등과 점심을 함께 먹었다고 전해짐. 이 자리에는 두 사람 외에도 JD 밴스 미국 부통령 당선인과 브래드 스미스 마이크로소프트 부회장도 자리한 가운데, 트럼프 당선인은 나델라 MS 회장,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와 AI 보안 정책을 논의했다고 알려짐.▷MS의 브래드 스미스 사장은 이날 회동에서 "미국의 최우선 공공정책은 민간 기업이 발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며 AI 분야의 과도한 규제 완화를 촉구했으며, "안보 보호와 미국 기업들의 확장성 사이의 균형잡힌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이 같은 소식 속 샌즈랩, 모니터랩, 케이사인, 한싹, 싸이버원, 라온시큐어 등 보안주(정보) 테마가 상승. 오후장 특징주★(코스피) 대동(000490): 우크라이나에 트랙터 수출 본격 개시 소식에 급등▷동사는 언론을 통해 자사 트랙터의 우크라이나 현지 시장 출하를 본격 개시한다고 밝힘. 이번 출하는 지난해 11월 우크라이나 농기계 수입 총판 A사와 체결한 3년간 300억원 규모의 트랙터를 공급하는 광역 총판 계약의 첫 번째 주문에 대한 것임. 동사는 중대형 모델인 PX/HX 트랙터 20대를 선적할 예정이며 단계적으로 공급을 확대할 계획.▷이와 관련, 이종순 동사 부사장은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우크라이나 사업을 확대해 나갈 것"이라며, "동사가 우크라이나 농업에 지속적으로 기여하고 중장기적으로 현지 농업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힘.▷이에 동사 주가가 급등세를 기록중이며, 계열사인 대동금속, 대동기어 등도 상승세를 기록.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 ADC 위탁생산 수주 임박 소식 등에 소폭 상승▷언론에 따르면, 동사가 올해 1·4분기부터 항체약물접합체(ADC) 서비스 제공을 시작하는 것으로 전해짐. 정형남 ADC개발팀 상무는 15일(현지시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JPM) 간담회에서 “미국식품의약국(FDA) 승인을 받은 ADC 치료제는 아직 15개뿐이지만, 현재 임상시험을 진행 중인 ADC 후보 약물은 500여개에 달한다”며, “리가켐바이오를 비롯해 여러 업체와의 수주가 임박해 있다”고 밝힘. 특히, 미국 내 4개 도시를 돌며 ADC 미팅을 진행할 예정이며, ADC 분야 80여 개 기업과 미팅을 연달아 하는 것으로 알려짐.▷한편, 협력 관계를 구축한 리가켐바이오에 대해 한국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갖춘 ADC 기업이라고 평가했으며, ADC 전용 시설에서 리가켐바이오와 협업 프로젝트를 본격적으로 수행할 계획이라고 밝힘.▷이 같은 소식 속 리가켐바이오도 상승세를 기록중. 씨에스윈드(112610): 715.62억원 규모 WIND TOWER 공급계약 체결에 소폭 상승▷Vestas American Wind Technology와 715.62억원(최근 매출액대비 4.7%) 규모 공급계약(WIND TOWER) 체결(계약기간:2025-01-16~2026-07-10) 공시. 세아제강(306200): 지난해 4분기 실적 개선 기대감 및 올해 호실적 전망 등에 소폭 상승▷BNK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지난해 4분기 영업이익은 316억원으로 전분기 부진에서 벗어나 빠르게 정상화될 것이라고 밝힘. 미국향 에너지강관(유정관+송유관) 수출이 4Q에 증가했고, ASP 역시 환율 상승으로 반등하면서 수출 수익성이 크게 개선될 것이라고 언급.▷아울러 2년간 감소한 미국의 에너지강관 수입량이 다시 증가할 것이라고 밝힘. 동사는 미국 중심의 수익 구조로 인해 올해 영업이익이 22%(YOY)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미국 정책 변화 수혜주로 관심을 가져야 할 시점이라고 언급.▷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160,000원[유지] 오후장 특징주★(코스닥) 피앤에스미캐닉스(460940): 재활 로봇 '워크봇' 1분기 내 멕시코 수출 마무리 계획 소식 등에 급등▷일부 언론에 따르면, 동사의 미주 진출이 임박했다며, 자체 설계 보행 재활 로봇 '워크봇(Walkbot)'을 멕시코에 수출한 뒤 미주 전역으로 저변을 넓힐 계획이라고 전해짐.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1분기 내로 워크봇의 멕시코 수출을 마무리하려고 한다"라며 "현재 고객과 긍정적으로 협의하고 있으며 가격 등 세부 내용을 조정 중"이라고 밝힘. 이어 "워크봇의 미주 지역 상업적 진출은 처음"이라며 "현지 진출 과정에서 시행착오를 많이 겪었는데, 멕시코에 수출했다는 포트폴리오가 생기면 미국 본토 진출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고 언급. 모바일어플라이언스(087260): 엔비디아 협력사 모빌테크, 2026년 기업공개 추진 계획 소식 속 모빌테크 지분 보유 사실 부각에 강세▷전일 일부 언론에 따르면, 디지털트윈·센서 기술 스타트업 모빌테크가 2026년 기업공개(IPO)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전해짐. 모빌테크는 센서 스위트(Sensor Suite) 솔루션과 디지털트윈 솔루션 '레플리카 시티(Replica City)'를 개발한 업체로 엔비디아, 현대자동차, 네이버 등 국내외 기업과 협력해 기술력을 인정받았다고 전해짐.▷특히, 모빌테크는 디지털트윈 기술력으로 엔비디아 파트너 생태계(Partner Ecosystem)에 포함돼 주목받았다며, 엔비디아는 디지털트윈 플랫폼 '옴니버스'와 물리적 인공지능(AI) 개발 플랫폼 '코스모스'를 개발했는데 이 두 플랫폼을 활용해 디지털트윈 환경에서 무수히 많은 자율주행 상황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고 알려짐. 모빌테크는 이 때 필요한 디지털트윈 데이터를 공급한다고 전해짐.▷이 같은 소식 속 분기보고서(24.09) 상 모빌테크 지분 4.76%를 보유한 동사가 시장에서 부각. HLB 그룹주: 진양곤 회장, 간암 신약 허가 목적 FDA CMC 실사 완료 후 계열사 지분 매입 지속 등에 강세▷최근 HLB가 간암 신약 허가를 위한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마지막 관문인 제조 및 품질관리(CMC) 실사가 완료됐다고 밝힌 가운데, HLB그룹 진양곤 회장은 계열사 주식 매입 행보를 이어가고 있음.▷이날 HLB이노베이션/HLB제넥스, 주식등의 대량보유자 소유주식수 변동 전자공시. 진양곤 회장은 HLB이노베이션 주식 10만주, HLB제넥스 주식 6만2678주를 장내매수했다고 밝힘. 진 회장은 지난해 11월부터 HLB제넥스 지분을 잇달아 매입하며 현재까지 총 42만주 가량 매입했으며, 별도로 지난해 HLB테라퓨틱스, HLB바이오스텝의 주식을 매입하는 등 꾸준히 계열사 지분을 높이고 있다고 전해짐.▷이와 관련, 회사측 관계자는 "CMC 실사가 완료됐음을 밝힌 후 전반적으로 그룹 상장사 주가의 변동성이 커졌다"며, "이 가운데 그룹 최고경영자가 계열사 지분을 추가 매입한 것은 신약 허가에 대한 강한 기대감을 나타냄과 함께 책임경영을 실현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힘.▷이 같은 소식 속 HLB, HLB이노베이션, HLB제넥스를 비롯해 HLB제약, HLB생명과학, HLB글로벌 등 HLB그룹주가 상승.[종목]: HLB, HLB이노베이션, HLB제넥스, HLB제약, HLB생명과학 현대ADM(187660): 폴리탁셀과 CSC-X 병용 요법 긍정적 연구결과 발표 소식 등에 강세▷동사는 언론을 통해 현대바이오와 무고통 항암제 폴리탁셀과 암줄기세포 타겟 항암제 CSC-X의 병용 요법을 통해 고통 없는 암 치료를 통한 완치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밝힘. 현대ADM은 지난 15일(현지시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리는 2025 바이오테크 쇼케이스(Biotech Showcase)에서 폴리탁셀과 CSC-X 병용 요법 연구결과를 발표.▷연구 결과에 따르면, 반려견 항암제 임상3상을 준비하기 위한 사전 효능 실험으로 자연발생 유선암(사람의 암 병기 기준으로 3기~4기에 해당하는 상태)에 걸린 반려견을 대상으로 무독성 용량 이내 용량(4.5㎎/㎏)의 폴리탁셀을 주 1회씩 3회 연속 휴지기 없이 투여한 결과, 유선종양 크기가 76.78% 감소. 림프절에 전이된 종양 크기도 74.01% 줄어들었다는 점도 확인됐으며, 골수억제·체중감소 등의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고 전해짐. 라온피플(300120): 태국 차관단 과천사옥 방문 소식 및 스마트시티 구축사업 기대감 등에 상승▷동사는 언론을 통해 쏭삭통씨(Songsak Thongsri) 태국 내무부 차관, 피킷 스리차나 (Phikit Srichana) 스마트시티 예산위원장, 네이튼장(Naten Jang) 에 이든랩스 대표 등 관계자들이 과천 사옥을 방문해 라온센티널(Laon Sentinel)과 생성형 AI 등 기술 점검을 마쳤다고 밝힘. 지난해 10월 동사는 태국 내무부 주관으로브엉깐(Bueng Kan)주에서 홍수 및 재난관련 전략적 업무제휴(MOU)를 맺고 AI 영상관제 솔루션 라온센티널을 개발해 공급키로 하는 시범사업을 시작했으며, 태국 차관단은 구체적인 사업방향과 기술을 점검하기 위해 회사를 방문한 것으로 전해짐.▷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태국 정부가 홍수 및 재난 관련 AI 영상관제 시범사업을 함께하면서 자회사 라온로드의 AI 교통관제 솔루션, 라온메디의 AI 덴탈솔루션까지 두루 점검하는 등 브엉깐주를 스마트 시티 허브로 만들기 위한 전략을 수립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힘. 글로벌텍스프리(204620): 매출액 성장세 지속 전망 등에 상승▷DS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당사가 추정했던 23년과 24년 매출액 규모는 930억, 1,120억이며 실제 동사는 23년 매출액 934억을 기록했고 현재의 성장 궤도상 24년은 1,250억원을 넘어설 것이라고 밝힘. 당시 매우 공격적인 추정치라는 일부 평가도 있었지만 동사는 지금까지 시장의 기대를 훌쩍 뛰어넘는 실적을 보여줬고 특히 이는 연간 120억원 이상 매출을 내는 프랑스 사업이 완전히 폐쇄한 상황에서 달성한 실적이라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아야한다고 언급.▷아울러 22년말 대비 매출은 3배 가까이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적자에서 200억원 이상으로 증가한 가운데, 주가는 당시 대비 절반 가까이 하락한 상태라고 밝힘.▷투자의견 : 매수[신규], 목표주가 : 5,000원[신규] 나이벡(138610): 자체 펩타이드 mRNA 전달 플랫폼 효능 입증 소식에 상승▷동사는 언론을 통해 미국 오메가 테라퓨틱스와 공동개발중인 mRNA 전달체가 기존 지질나노입자(LNP) 대비 mRNA를 3.5배 더 잘 전달한 연구결과를 확인했다고 밝힘. 해당 결과는 오메가와 공동개발에서 자체 약물전달 플랫폼 ‘펩타델(PEPTADEL)’을 적용한 mRNA 전달체의 효능을 분석한 결과이며, 연구팀은 마우스 모델에 펩타델과 LNP를 이용한 mRNA를 투여하고 6시간 후 폐로 전달된 약물비율을 분석했고, 그 결과 동사의 mRNA-펩타델 복합체가 mRNA-LNP 전달체와 비교해 약물전달 효율 측면에서 약 3.5배 더 향상된 것으로 나타난 것으로 전해짐.▷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펩타델은 특정 조직 또는 세포의 수용체에 타깃하도록 설계가 가능해 항암제, 백신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을 확대할 수 있다는 점이 매력적”이라며 “펩타이드 기반 자체 약물전달 플랫폼 기술의 적용 확대를 위해 글로벌 제약사들과 다양한 프로젝트를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밝힘. 드림어스컴퍼니(060570): LG전자 AI 홈 허브에 음악 플랫폼 플로(FLO) 연동 소식 등에 상승▷동사는 금일 언론을 통해 동사의 음악 플랫폼 플로(FLO)가 LG전자와 손잡고 ‘인공지능(AI) 홈’ 생태계 구축에 나선다고 밝힘. 플로는 플랫폼 확장성과 차별화된 AI 기술을 바탕으로 기업간거래(B2B) 비즈니스를 적극 확대한다는 방침으로 LG전자가 연내출시 예정인 신규 ‘AI 홈 허브’에 파트너사로 참여할 것으로 알려짐.▷이와 관련, 이새롬 동사 비즈니스본부장은 “글로벌 기업인 LG전자와의 협업으로 플로의 B2B 사업 영역을 크게 확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B2B 비즈니스를 통해 다방면으로 성장을 도모할 예정”이라고 밝힘. 이엠앤아이(083470): 전고체 배터리 대량생산기술 개발 마무리 소식에 상승▷동사는 언론을 통해 국내 1위 대기업과 진행한 '고체전해질 대량생산을 위한 외주개발' 용역을 이달 마무리한다고 밝힘. 지난 9월 체결한 개발용역은 전고체 배터리의 양산에 맞춰 고체전해질 대량생산을 위한 협력으로, 동사의 기술은 내년부터 양산하는 전고체 배터리에 적용될 것으로 전망.▷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2022년부터 글로벌 AI 기업의 솔루션을 활용해 수십만개 이상의 전해질 소재 후보군 구조를 탐색했다"며, "전고체 전해질 대량 생산 기술이 전무한 만큼 기술 개발 성공에 힘쓰고 양산까지 이어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힘. 유바이오로직스(206650): 46.42억원(최근 매출액대비 6.69%) 규모 공급계약 체결에 소폭 상승▷UNICEF와 46.42억원(최근 매출액대비 6.69%) 규모 공급계약(경구용 콜레라 백신(유비콜-에스)) 체결(계약기간:2025-01-15~2025-03-14) 공시. 다보링크(340360): 9.99억원 규모 유상증자 결정에 소폭 상승▷전일 장 마감 후 운영자금 확보 목적으로 백석투자조합 대상 563,697주(9.99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발행가:1,774원, 상장예정:2025-02-21) 공시. 디지틀조선(033130): 에이치에스애드와 57억원 규모 전광판 광고 계약 체결에 소폭 상승▷주식회사 에이치에스애드와 57.00억원(최근 매출액대비 16.02%) 규모 공급계약(전광판 광고 계약) 체결(계약기간:2025-03-01~2027-12-31) 공시. 제이스코홀딩스(023440): 400억 CB 납입 완료 및 유동성 확보 소식 등에 소폭 상승▷동사는 공시를 통해 400억원 규모 제4회차 전환사채(CB) 납입이 완료됐다고 밝힘.▷언론에 따르면, 이번 자금 조달은 리딩투자증권이 주축이 돼 리딩투자증권 계열사 및 재무적 투자자가 특수목적법인(SPC)을 통해 납입을 완료했으며, 이를 기반으로 재무구조 개선에 탄력이 붙을 전망인 것으로 전해짐. 400억원 중 330억원은 차입금 상환에 쓰일 예정으로 3분기 기준 94.97% 수준이던 부채비율이 약 75% 이하로 개선될 예정이며, 나머지 자금은 원재료 매입 및 해외법인 운영에 활용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짐.▷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어려운 시장 여건에도 불구하고 대규모 자금 조달을 성공적으로 마쳤다”며 “이번 확보한 400억원 규모의 자금으로 니켈 광산 개발 사업의 상업용 채굴 일정 지연으로 인해 증가한 차입금을 상환해 금융비용 부담이 줄어들 것”이라고 밝힘. 한글과컴퓨터(030520): AI 제품 3종 GS 1등급 획득 소식에 소폭 상승▷동사는 언론을 통해 지난해 선보인 AI 지능형 문서 작성 도구 '한컴어시스턴트', AI 기반 질의응답 솔루션 ' 한컴피디아', 문서 데이터 추출 솔루션 '한컴 데이터 로더' 등 AI 제품 라인업 3종이 모두 GS(Good Software) 인증 1등급을 획득했다고 밝힘. GS 인증은 한국정보통신기술 협회(TTA)가 국내 우수 소프트웨어 제품을 대상으로 기능성, 신뢰성, 효율성, 사용성, 유지 보수성 등 다양한 항목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국가 공인 인증 제도임. 이번 GS 인증 1등급 획득은 한컴의 AI 기술력과 제품 품질이 국제적 수준에 도달했음을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며, 김연수 대표는 "한컴 AI 제품군의 GS 인증 1등급 획득은 한컴의 AI 사업 의지와 기술 수준이 입증된 결과"라고 밝힘. 싸이토젠(217330): 공시불이행으로 불성실공시법인 지정에 소폭 하락▷전일 장 마감 후 공시불이행(소송 등의 제기·신청 지연공시)으로 불성실공시법인 지정 공시. FSN(214270): 15억원 규모 사모 CB 발행 결정 속 하락▷전일 장 마감 후 채무상환자금 확보 목적으로 제이브이씨 주식회사(주주) 대상 15.00억원 규모의 사모 전환사채권 발행 결정(전환가액:2,076원, 전환청구일:2026-01-17 ~ 2027-12-17) 공시. @ 인포스탁
톡스타톡속보2025-01-16 15:38:32조회수:150